【인문사회분야 지원】
【학술기반 구축】
사업 |
사업명 |
사업목적 및 특성 |
지원대상 |
지원단가 |
지원기간 |
개인 |
박사후국내연수 |
박사학위 취득 연구자에게 연구기관 연수제공 |
박사학위 취득 후 5년 이내 |
34 |
1~2 |
학술연구교수 |
박사후 연구자가 대학연구소에서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 |
박사학위 소지자 중 고등교육기관 부설연구소 전임연구교수 채용 예정자 |
40 |
3 |
|
시간강사 |
대학 시간강사 연구지원 |
최근 5년 이내 대학에서 강의경력이 있는 박사학위 소지자 |
14 |
1 |
|
신진연구자 |
신진연구자의 연구의욕 고취 및 연구역량 강화 |
조교수 이상 임용 후 5년 이내인 대학교원 또는 박사학위 취득 후 10년 이내 연구자 |
20 이내 |
1~3 |
|
중견연구자 |
중견연구자 개인연구 지원 |
조교수 이상 임용 후 5년이 초과한 대학교원 또는 박사학위 취득 후 10년 초과 연구자 |
(트랙1) 10 (트랙2, 3) 20 이내 |
(트랙1) 10(5+5) (트랙2,3) 1~3 |
|
우수학자 |
인문사회분야에서 한국을 대표할 우수학자의 연구·저술활동 지원 |
박사학위 취득 후 10년 이상이고 조교수 이상의 경력이 10년 이상인 대학 또는 학회 소속의 연구자 |
30 |
5(3+2) |
|
저술출판지원 |
인문사회분야 저술지원 |
최근 5년간 연구업적이 3편 이상인 연구자 |
10 |
2~3 |
|
명저번역지원 |
동서양의 명저를 체계적으로 번역·보급 |
단독번역출판물 또는 4인 이하 공동 번역 출판물이 1종 이상인 연구자 |
지정도서별 분량과 난이도를 고려하여 지원 |
2~3 |
|
공동 | 일반공동연구 |
소규모 공동연구 지원 |
대학·연구기관 등에 소속된 연구자 |
50 이내/100 이내 |
1~3 |
학제간융합연구 |
인문사회와 이공계 분야와의 융합 연구 활성화 |
인문사회와 이공분야의 융합분야 연구팀 |
40 이내/200 이내 |
1/5(3+2) |
|
글로벌연구네트워크 |
해외 우수연구자들과의 국제공동연구 및 네트워크 추진 |
학술진흥법 제 2조 5호에 해당하는 연구자 |
80 이내 |
2~3 |
|
집단 |
토대연구 |
연구토대가 되는 기초자료, 사전 등 연구 |
대학부설연구소 및 국내 연구기관 |
200 이내 |
3/5(3+2) |
인문사회연구소 |
대학연구소의 전문화, 특성화를 통한 대학의 연구거점 구축 |
대학부설연구소 |
200 이내/300 이내 |
6(3+3)/ 9(3+3+3) |
|
인문한국지원(HK) |
세계적 수준의 인문학 및 해외 지역학 연구소 육성 |
인문학, 해외지역분야 대학부설연구소 |
1,500 이내 |
10 (3+3+4) |
|
인문한국플러스지원(HK+) |
대학 내 인문학연구소 집중 육성을 통한 인문학 연구 인프라 구축 |
(1유형) 대학부설연구소 (2유형) HK사업 종료 연구소 중 우수연구소 |
(1유형) 최대 1,700 이내 (2유형) 300 내외 |
7 (3+4) |
|
사회과학연구지원(SSK) |
사회과학 분야 세계적 수준의 연구센터 육성 |
대학 전임교원 및 박사후 연구자 (연구책임자는 사회과학분야) |
(소형) 100 이내/ (중형) 230 이내/ (대형) 450 이내 |
10 ((소형)3+(중형)3+(대형)4) |
|
신흥지역연구지원 |
신흥지역 전문가 육성 및 연구지원 |
대학부설연구소 |
230 이내 |
5(2+3) |
|
- |
인문학대중화(인문도시) |
지역의 인문자산 발굴 및 지역 간 네트워크체제 활성화 |
전국 대학 및 부설연구기관 |
150 이내 |
1/3 |
※ 인문사회분야는 예술·체육학 분야 포함
※ 사업별 세부 사항은 해당 사업별 신청공고문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