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ENG
[보도]
(우수성과)뛰는 화합물 반도체 위에, 나는 페로브스카이트 반도체 적층
작성자
김지애
작성일
2020-01-20
조회수
1,475

뛰는 화합물 반도체 위에, 나는 페로브스카이트 반도체 적층

유연한 화합물 반도체 위에 가성비 좋은 페로브스카이트 적층, 태양전지 효율 높여

 

 

□ 실리콘 반도체의 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유연한 화합물 반도체가성비 좋은 페로브스카이트 반도체가 만났다.

태양빛을 흡수해 전기를 만드는 태양전지의 소재로 널리 쓰이는 실리콘 반도체. 태양광 발전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지만 두껍고 딱딱해 용도가 한정되어 있었다.

 

□ 그 가운데 실리콘 반도체에 비해 효율이 높고 경량화와 유연화에 유리하지만, 제작비용이 비싸 활용에 제약이 있었던 화합물 반도체태양전지의 발전단가를 낮출 수 있는 경제적인 방법이 보고되었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박희준(한양대학교이재진(아주대학교) 교수 연구팀이 갈륨과 비소로 만든 화합물 반도체(GaAs) 위에 페로브스카이트 반도체를 적층한 고효율 복층구조 탠덤 태양전지를 구현했다고 밝혔다.

장파장 빛을 흡수하는 화합물 반도체 결정 위에 단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을 적층, 보다 다양한 파장의 빛을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전기에너지 변환효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 두껍고 딱딱한 실리콘 반도체와 달리 화합물 반도체는 얇은 박막 형태로 빛을 흡수할 수 있어 경량화와 유연화에 유리하다. 때문에 자동차, 무인비행기, 웨어러블 기기 및 IoT 센서 등의 동력원으로 주목받는다.

○ 하지만 화합물 반도체 제작에 높은 비용의 유기금속화학증착법이 이용되는 만큼 광변환효율을 높여 발전단가를 낮추는 것이 실용화의 관건이었다.

 

기존에도 단파장 빛을 흡수하는 인듐-갈륨-(InGaP) 태양전지를 갈륨-비소 화합물 태양전지 위에 적층하여 효율을 높이려는 시도는 있었다.

○ 하지만 인듐-갈륨-인 태양전지는 제작비용이 높고 복잡한 구조 때문에 오히려 발전단가를 상승시켰다.

 

□ 이에 연구팀은 저온 용액공정으로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가성비 좋은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의 효용가치를 높이는 구조를 설계했다.

○ 실제 연구팀이 구현한 복층구조의 태양전지를 적용한 결과 갈륨-비소 태양전지의 성능을 15% 이상 끌어올릴 수 있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교육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기초연구사업

(중견연구 및 기본연구 등) 등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Advanced Energy Materials)1219일 게재되는 한편 표지논문으로 선정되었다.

 

 

 

 

 

 <언론에 보도된 기사 링크>

    기사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기사로 연결됩니다.

 

연번

매체명

기사제목

1

뉴스웍스

화합물 반도체 위에 페로브스카이트 적층, 태양전지 효율 높여

2

대전일보

한국연구재단, 태양광 발전 날개 달아줄 '고효율 복층구조 탬덤 태양전지'

3

기계신문

저렴한 페로브스카이트 활용해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 효율 높였다

4

헤럴드경제

화합물반도체+페로브스카이스 반도체 결합…고효율 태양전지 구현

5

뉴스1

화합물 반도체 위에 페로브스카이트 적층…태양전지 효율 높여

6

연합뉴스

페로브스카이트 이용해 유연한 화합물 태양전지 효율 높여

7

연합뉴스

한양대·아주대 연구팀, 유연한 화합물 태양전지 효율 높여

8

베리타스알파

한양대/아주대 연구팀, 유연한 화합물 반도체 위에 가성비 좋은 페로브스카이트 적층.. 태양전지 효율 높여

9

아시아뉴스통신

화합물·페로브스카이트 적층 ‘고효율 탠덤 태양전지’ 최초 구현

10

녹색경제신문

[과학을 품다] 지금보다 15% 효율 높은 태양전지 나온다

 

연구자의 미소는 NRF의 얼굴입니다.
콘텐츠 만족도 평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자 회원이 한국연구재단 콘텐츠 내용을 평가하고 올바른 최신의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여러분께서 주신 소중한 의견과 평가 결과는 앞으로 홈페이지 운영에 적극 반영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