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내용
사업 | 사업목적 | 연간 연구비 | 지원기간 |
---|---|---|---|
유럽핵입자 물리연구소 (CERN)협력 | CERN 연구소의 검출기 실험 및 이론 물리 연구에 참여하고 대형 검출기(CMS, ALICE) 내 주요 장치를 공동 개발하는 등 국제협력을 통해 국내 기초과학 역량 확보 | CMS 33억 내외 ALICE 14억 내외 이론물리 4.6억 참여부담금 6.8억 | 3년 (계속) |
추진체계(2023년 기준)
지원규모(2023년 기준)
사업 | 신규과제 | 계속과제 | 합계 | |||
---|---|---|---|---|---|---|
과제수 | 연구비 | 과제수 | 연구비 | 과제수 | 연구비 | |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협력 | - | - | 3 | 7,094 | 3 | 7,094 |
주요 성과(2022년 기준)
- (CMS 검출기 실험) RUN 3와 함께 시작된 6단계 1차년도(2022년)에 공동 게재된 논문 52편(한국인 주저자 논문 2편 포함), KCMS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50회(CMS 전체 발표 수의 5.4%), CERN 내 주요 리더십(20~30명 규모의 소규모 R&D 프로젝트 PI) 수행 11건
- Run 2 데이터를 이용한 탑 쿼크에서 희귀과정 탐색(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JHEP), ’22.02.), 표준모형을 넘어서는 무거운 뉴트리노 입자 탐색(JHEP, ’22.04.), CMS 실험에서 중이온 충돌 결과 개관 발표(QuarkMatter학회, ’22.04.), 검출기의 핵심부품인 RPC(Resistive Plate Chamber) GAP 제작 시작, GEM(Gas Electron Multiplier, 기체전자증폭기) 호일 layer-1 CERN으로 납품 완료 등 - (ALICE 검출기 실험) 공동 게재된 논문 33편(한국인 주저자 논문 2편 포함), KoALICE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38회(ALICE 전체 발표 수의 7.6%), CERN 내 주요 리더십 수행 9건, 과학비지니스벨트 유공자상 권민정 교수(인하대) 외 1명, 언론홍보 총 14회 등 정량적 성과 달성
- 강한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이론의 근본적인 특성인 ‘데드콘(Dead Cone)’효과를 세계 최초로 직접 관측(Nature紙, ’22.5.), 3세대 반도체 내부궤적검출기(ITS3, Inner Tracking System) 업그레이드 MoU 체결(’22.10), ALICE 실험을 통해 얻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중이온가속기 라온(RAON)의 LAMPS(Large Acceptance Multi Purpose Spectometer) 실리콘 검출기 설계 및 제작(’22.10) 등 - (이론물리) 주목해야 할 이론 물리학적 주제 연구, CERN fellow 2명, 대학원생 박사과정 1명 파견 및 1인당 논문 2.3편 발표 등 인력양성
- Gauss-Bonet 항을 추가한 인플레이션에서 나타나는 원시블랙홀 연구(PRD紙, ’21.10.), 이산적 R 대칭성과 중력파 연구(PRD紙, ’22.03.)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