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반복되는 영역 건너뛰기 본문 바로가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우수성과) B형 간염바이러스 생애 재현한 세포배양 플랫폼 개발
작성자 장효정
등록일 2019.05.15
조회수 1,720

B형 간염바이러스 생애 재현한 세포배양 플랫폼 개발

- B형 간염 환자의 개인 맞춤형 치료법 후속연구 기대 -

 

 

□ B형 간염바이러스가 환자에게 감염되고 약물에 의해 감소되는 전 과정이 관찰 가능해졌다. 마크 윈디쉬 박사(한국파스퇴르연구소) 연구팀이 간에서 B형 간염바이러스 생활사 전주기를 재현한 세포배양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밝혔다. 

 

□ 전 세계적으로 3억 명 이상이 B형 간염바이러스(HBV)에 감염되어, 만성 간염, 간경화, 간암 등 심각한 간 질환으로 고통 받고 있다. 매년 80만 명 이상의 환자가 사망에 이르지만, 아직까지 B형 간염은 완치가 불가능한 미 충족 의료수요이다.

   ※ 국내의 경우 200만 명 이상이 B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다.

 ㅇ B형 간염을 완치할 새로운 작용기전의 치료제 개발을 위해, 실제 환자의 간에서 발생되는 바이러스의 생활사 전주기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와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바이러스 생활사의 일부분만 관찰할 수 있었다.

 

□ 연구팀이 개발한 세포배양 플랫폼에서는 B형 간염바이러스가 진입, 유전체(게놈) 복제, 방출, 확산되기까지 8주 이상 관찰할 수 있다. 기존 기술에서 극히 제한적이던 연구 범위(1~3주)가 대폭 확대됐다.

 ㅇ 특히 환자에게 직접 유래된 바이러스를 배양하여, 환자의 몸속에서 실제로 일어나는 특성들을 재현할 수 있다.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했을 때 바이러스의 활성 감소도 검증할 수 있다. 소량의 혈액 시료를 가지고 복잡한 정제과정 없이 손쉽게 연구할 수 있다.

 

□ 마크 윈디쉬 박사는 “그동안 B형 간염바이러스 연구에 제한적이었던, 생활사 탐색이 전주기적으로 가능한 세포배양 플랫폼을 개발했으며, 새로운 작용기전의 만성 B형 간염 치료제 개발에 이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ㅇ 또한, “향후 이 플랫폼을 이용하여 만성 B형 간염 환자의 개인 맞춤형 치료 시스템 적용을 위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라고 후속연구 계획을 밝혔다. 

 

□ 이 연구성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국제적으로 저명한 유럽 간학회지 ‘저널 오브 헤파톨로지(Journal Of Hepatology)’에 5월 9일 게재되었다. 

 

·

콘텐츠 관리

  • 담당부서
    홍보전략팀
  • 담당자
    고홍숙
  • 전화번호
    042-869-6119
  • 담당부서
    홍보전략팀
  • 담당자
    정인선
  • 전화번호
    042-869-6852
콘텐츠 만족도평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자 회원이 한국연구재단 콘텐츠 내용을 평가하고 올바른 최신의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여러분께서 주신 소중한 의견과 평가 결과는 앞으로 홈페이지 운영에 적극 반영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5점 4점 3점 2점 1점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