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반복되는 영역 건너뛰기 본문 바로가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우수성과)실리콘과 호환되는 플루오라이트 구조 인공초격자 개발
작성자 김지애
등록일 2019.11.19
조회수 731

실리콘과 호환되는 플루오라이트(형석) 구조 인공초격자 개발 

광학기기나 장식품에 쓰이는 형석, 메모리 및 에너지 소자용 신소재 응용 기대

 

□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박민혁 교수(부산대학교), 황철성 교수(서울대학교) 연구팀이 광학기기나 장식품 등에 쓰이는 플루오라이트* 구조를 기반으로 인공초격자를 개발, 메모리 디바이스 및 에너지 변환·저장 소자로 응용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아냈다. 

 ○ 원재료를 인공초격자 형태로 적층, 원래 재료에서 나타나지 않는 전기분극을 유도,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소자, 센서 등에 응용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시한 것이다. 

    ※ 플루오라이트(형석, 螢石 , fluorite) : 플루오린화 칼슘(CaF2)에서 나타나는 등축 결정계 광물로 청색의 인광을 방출한다. 

 

□ 차세대 물질 구조로 주목받는 인공초격자는 원자들을 특정하게 배열,자연에 존재하는 물질이 가질 수 없는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 최근에는 조성이 간단하고 만들기 쉬운 플로오라이트(산화하프늄, 산화지르코늄 등) 구조 기반 물질이 주목받고 있다. 

 ○ 하지만 서로 다른 두 물질을 적절하게 섞어 박막으로 만드는 것이 대부분이었고 인공초격자로 합성하려는 연구는 시작단계에 있다. 

 

□ 연구진은 비교적 만들기 쉬운 세라믹 박막재료인 산화하프늄과 산화지르코늄을 0.5 나노미터 두께의 원자층 단위로 번갈아가며 쌓아 올려 극성 인공초격자를 제작했다. 

 ○ 나아가 두 물질을 일정한 두께로 반복한 인공초격자 형태에서 강유전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고 그 이유를 규명해 냈다.  전기 없이도 자발적인 분극*상태를 갖는 강유전성은 전원이 꺼져도 정보가 유지되는 메모리 소자용 소재로 이상적이다. 

    ※ 강유전성 : 외부에서 전기를 가하지 않아도 2개 이상의 자발적인 분극상태를 가질 수 있어 전원이 꺼져도 저장된 정보가 유지되는 메모리 소자용 소재로 이상적이다. Pb(Zr,Ti)O3. SrBi2Ta2O9, P(VDF-TrFE) 등 여러 가지 소재가 쓰이고 있다.  

    ※ 분극(polarization) : 이온성 결정에서 양이온과 음이온의 평균 위치가 불일치할 때 표면에 유도되는 단위면적당 전하량에 해당된다. 

 

□ 실제 만들어진 인공초격자 물질을 커패시터 소자에 적용한 결과 기존 박막 형태에 비해 잔류분극 성능이 10 % 향상되었다. 

 ○ 특히 반도체 표준물질인 실리콘 기판과 호환성을 지녀 실리콘 기판 위에 직접 인공초격자를 형성할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글로벌프론티어 사업과 삼성미래기술육성센터의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어플라이드 피직스 리뷰(Applied Physics Reviews)에 11월 8일 게재되었다. 

·

콘텐츠 관리

  • 담당부서
    홍보기획팀
  • 담당자
    고홍숙
  • 전화번호
    042-869-6119
  • 담당부서
    홍보기획팀
  • 담당자
    이은지
  • 전화번호
    042-869-6852
콘텐츠 만족도평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자 회원이 한국연구재단 콘텐츠 내용을 평가하고 올바른 최신의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여러분께서 주신 소중한 의견과 평가 결과는 앞으로 홈페이지 운영에 적극 반영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5점 4점 3점 2점 1점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