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반복되는 영역 건너뛰기 본문 바로가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홍보) 포스트 팬데믹 시대로의 전환을 위한 국제심포지엄 개최
작성자 장희웅
등록일 2020.12.08
조회수 925

포스트 팬데믹 시대로의 전환을 위한 국제심포지엄 개최

-  한국, 미국, 독일의 대표 연구지원기관 한자리에 모여  -

한국연구재단(이사장 노정혜)은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위기 극복을 위하여 오는 12일(목) 17시30분부터 포스트 팬데믹 시대로의 전환: 코로나19의 영향과 R&D 정책 분석*을 주제로 국제 심포지엄(Webinar)을 개최한다.

  • (영문 주제) Moving Toward the Post-Pandemic Era: Reviewing the Impact of COVID-19 and Its Implication on R&D Policy Perspectives

 

□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3개 대륙에 걸친 미국, 독일, 한국의 대표 연구지원기관과 국내외 전문가들이 함께 코로나19와 관련된 각국의 상황과 그 분석, 그리고 R&D 지원 정책에 관한 발표와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행사는 유튜브로 실시간 중계된다.

※ 사전등록 URL : https://forms.gle/eNrKjsJoqL6nxwxD9

※ 유튜브 URL : https://youtu.be/RZbqv21hKb4 (채널명 : 한국연구재단 국제협력본부)

 

□ 먼저, 미국국립과학재단*(NSF, National Science Foundation)의 세투라만 판차나탄(Sethuraman Panchanathan) 총재는 기조강연을 통해 코로나19 대응을 위하여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학제간 융합연구와 장기적인 기초과학 투자, 그리고 국제 공조의 필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 미국 국립과학재단(NSF)는 1950년에 설립되었으며, 독립적인 미 정부기관으로 2020년 예산이 83억 달러(한화 약 9조3천억 원)에 달하는 선도적 글로벌 연구지원 기관이다.

 

□ 해외 연사로는 독일연구재단(DFG, German Research Foundation)의 악셀 브락하게(Axel Brakhage) 부총재가 독일의 코로나19 대응과 R&D 지원정책을 중심으로, 팬데믹이 연구현장에 주는 경쟁 및 압박 해소와 안정적인 연구환경 조성, 그리고 국제협력을 위하여 독일연구재단이 수행한 노력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스웨덴 웁살라학교(Uppsala University)의 토베 팔(Tove Fall) 교수는 웁살라지역을 중심으로 스웨덴의 코로나19 대응 정책뿐만 아니라, 발병 환자의 신체적 증상, 그리고 경제적 수준과 코로나19 발병의 상관관계 등 미국, 영국을 포함한 420만 명의 인구 분석을 통해 밝힌 흥미로운 역학연구 결과를 공개한다.

 

□ 국내 연사로는 서울대학교 조성일 교수가 한국의 코로나19 상황과 앞으로의 전망을 중심으로 한국 방역의 성과와 남은 과제, 방역조치와 사회․경제 활동 균형의 중요성 등에 대해 발표한다. 성균관대학교 유홍준 교수는 인문사회학 관점에서 코로나19가 인류에게 가져올 영향을 중심으로 저성장시대에 팬데믹 위기가 더해져 등장한‘듀얼 뉴노멀(Dual New Normal)’개념과 우리 삶의 변화에 대해 분석한다. 그리고 한국연구재단 이희윤 기초연구본부장이 ‘신속 진단키트’개발 성과를 도출해낸 한국연구재단의 코로나19 관련 연구지원 현황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 마지막으로 국내외 5명의 연사들이 모두 참여*하는 종합 토론에서는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맞이한 각국의 연구지원 계획 공유, 국제적 공조 강화를 위한 다양한 제안들이 논의될 예정이다. 시청자들도 유튜브 플랫폼을 통해 실시간 질의가 가능하며 한국연구재단 문애리 국책연구본부장이 토론의 사회를 맡아 진행한다.

* 토론 참석자 : DFG 악셀 브락하게 부총재, 스웨덴 웁살라대 토베 팔 교수, 서울대 조성일 교수, 성균관대 유홍준 교수

 

노정혜 이사장은“팬데믹으로 연구현장은 전례 없는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선 인문학 관점의 접근 등 학문, 지역을 초월한 초학제연구 지원, 그리고 국제협력의 강화와 같은 응집된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 재단이 마련한 이번 심포지엄이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맞아 더 나은 미래를 설계하기 위한 밑거름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

·

콘텐츠 관리

  • 담당부서
    홍보전략팀
  • 담당자
    고홍숙
  • 전화번호
    042-869-6119
  • 담당부서
    홍보전략팀
  • 담당자
    정인선
  • 전화번호
    042-869-6852
콘텐츠 만족도평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자 회원이 한국연구재단 콘텐츠 내용을 평가하고 올바른 최신의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여러분께서 주신 소중한 의견과 평가 결과는 앞으로 홈페이지 운영에 적극 반영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5점 4점 3점 2점 1점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