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반복되는 영역 건너뛰기 본문 바로가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학술·인문사회사업 > 개인연구군 > 신진연구자지원]

사업목적

  • 연구력이 왕성한 신진연구자의 창의적 연구 의욕 고취 및 안정적 연구 환경 조성
  • 신진연구자의 연구역량 극대화를 통한 중견급 우수연구자로 성장 유도

'25년 중점 추진 방향

  • 연구의 창의성, 연구계획의 우수성을 중심으로 평가

  • 신규과제 예산의 일부를 창의도전 분야 연구에 배정함으로써 신진연구자가 도전적·창의적 연구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신규 선정과제 중 일부를 인문사회학술연구교수(B유형) 기수행 연구자로 별도 선정하여 성장단계별 연구가 가능하도록 지원

  • 소외보호 연구 장려를 위해 소외보호 유형 별도 지원

  • 교육부 및 연구재단 우수성과과제의 연구자 신청 시 가산점을 부여함으로써 우수성과자 우대 및 우수성과 창출 도모 (우수성과 선정일로부터 3년 이내, 총 1회 한정)

  • 본 사업의 경우, 개인연구군 사업이므로 연구책임자 단독 연구로 진행 (학생연구자 외 공동연구원, 참여연구원 등 참여 불가)

지원예산

  • 지원비 : 총 14,564백만 원 이내(807과제 내외) 
    • 신규지원 : 6,941백만 원 내외(360과제 내외)
    • 계속지원 : 7,623백만 원 이내(447과제 이내)

지원대상

  • 지원분야 : 인문사회분야(예술·체육학 포함)
  • 지원대상 :「학술진흥법」제2조 제5호의 연구자로 온라인 신청마감일 기준 최초 조교수 이상의 직위로 임용된 지 5년 이내인 국내대학 소속 교원 또는 박사학위 취득 후 10년 이내 연구자
    ※ 연구책임자는 사업비중앙관리가 가능한 국내기관 소속 연구자이어야 함
    ※ 고등교육법 개정(’11.7.21.)으로 전임강사의 명칭이 폐지되어, 종전의 규정에 따른 전임강사는 현재 고등교육법에 따른 조교수로 봄

지원유형

신진연구자지원 지원유형
지원유형 지원규모 지원기간 비고

 신진연구일반

연 20백만원 이내 (간접비 별도 지급) 1~3년 세부내용 신청요강 참조

 학문후속양성

 소외보호

※ 편람, 사전편찬, 교재개발, 번역, 전람회, 연주회 등을 위한 과제는 지원대상에서 제외

※ 기 창의도전 유형은 신진연구일반 유형으로 통합 및 신규과제 예산의 일부 별도 배정

연구개시일 :  2025년 6월 1일

과년도 선정과제 목록 조회

  • 기초학문자료센터(www.krm.or.kr)을 통해 과년도 선정과제 목록 조회가능 KRM 바로가기
·

콘텐츠 관리

  • 담당부서
    인문사회연구자지원팀
  • 담당자
    김혜은
  • 전화번호
    042-869-6208
콘텐츠 만족도평가
한국연구재단 연구자 회원이 한국연구재단 콘텐츠 내용을 평가하고 올바른 최신의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여러분께서 주신 소중한 의견과 평가 결과는 앞으로 홈페이지 운영에 적극 반영이 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보고 계시는 화면의 정보와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5점 4점 3점 2점 1점

한국연구재단